슬리피지 로그 확인 방법 총정리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새벽 시장 소식을 전해드리는 굿모닝해선입니다. 혹시 주문한 가격과 체결된 가격이 달라 당황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오늘은 바로 그 ‘슬리피지’의 원인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슬리피지 로그 확인 방법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분명히 원하는 가격에 주문을 넣었는데도 불리한 가격에 체결되어 답답했다면, 오늘 글이 명쾌한 해답이 될 수 있습니다. 이제는 단순히 감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근거로 정확히 원인을 진단하는 것이죠.


50240db37737bde525435befbf296e42_1758518059_0964.png

슬리피지, 로그로 확인하면 무엇을 알 수 있나요? (Q&A)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슬리피지는 왜 발생하며, 로그 확인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Q. 슬리피지는 왜 생기고, 로그 확인의 핵심은 무엇인가요?

A. 슬리피지는 크게 ①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 ② 거래 서버 지연 또는 네트워크 문제 두 가지 이유로 발생합니다. 주문을 넣은 순간과 거래소 서버에 도달하는 찰나 사이에 가격이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이때 주문체결 로그를 확인하면 내 주문이 어떤 과정을 거쳐 체결되었는지 객관적인 증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요청가와 체결가 비교’를 통해 가격 차이가 시장 자체의 문제인지, 아니면 서버나 플랫폼 문제인지 구분하는 데 있습니다. 이 기록이 있어야 정확한 슬리피지 측정이 가능하고, 필요하다면 브로커에 문의할 근거가 됩니다.

어디서 슬리피지 로그를 확인할 수 있나요? (플랫폼별)

그렇다면 이 중요한 로그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사용하는 플랫폼마다 경로가 다르지만 기본 원리는 비슷합니다.

MT4/MT5: Journal·Order History에서 요청가/체결가/시각 확인

대표적인 메타트레이더 플랫폼은 터미널 창(Ctrl+T)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Journal' 탭에서는 주문 송신과 서버 응답 기록을 시간순으로 볼 수 있고, 'Account History' 또는 'Trade' 탭에서는 최종 체결 내역(요청가, 체결가, 시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S/MTS: 체결내역·체결사유·스프레드 확인

국내 HTS/MTS는 보통 '주문체결내역', '거래내역' 메뉴에서 유사 정보를 제공합니다. 일부는 '체결사유' 항목을 통해 왜 특정 가격에 체결되었는지 보여주기도 합니다. 또한 대다수 HTS는 자동으로 PC 폴더에 로그 파일을 저장하므로 경로를 알아두면 유용합니다.


50240db37737bde525435befbf296e42_1758518072_3535.png
 

로그로 원인을 진단하는 4단계 방법

로그를 찾았다면 이제 본격적인 분석 단계입니다. 아래 4단계를 참고해 보세요. 이것이야말로 실질적인 슬리피지 로그 확인 방법입니다.

  1. 요청가 vs 체결가 vs 당시 스프레드 비교

    먼저 요청가와 실제 체결가의 차이를 확인하세요. 그 차이가 당시 평균 스프레드나 틱 차트 범위 내인지 교차 검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체결 시각·서버핑·네트워크 상태 점검

    요청 시각과 체결 시각 사이에 눈에 띄는 지연이 있다면 서버 문제 가능성이 있습니다. 보통 1초(1000ms) 이상이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3. 주문유형·허용슬리피지·부분체결 확인

    시장가·지정가 여부, 허용 슬리피지 값 초과 여부, 부분 체결 여부를 반드시 체크하세요.

  4. CSV/스크린샷으로 증빙 남기기

    로그를 CSV로 내보내거나 스크린샷으로 저장하고, 발생 상황을 메모해두면 브로커 문의 시 큰 도움이 됩니다. 일종의 '오답노트'가 되는 셈입니다.

50240db37737bde525435befbf296e42_1758518082_4191.png

재발 방지 세팅과 브로커 문의 팁

로그 분석으로 원인을 알았다면 예방 전략이 필요합니다. 저 역시 초기에 지표 발표 시간에 시장가로 진입했다가 로그를 통해 변동성 때문임을 뒤늦게 깨달은 적이 있었습니다. 실제로 약 70% 이상의 심각한 슬리피지는 변동성 구간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체크리스트로 피해 줄이기

  • 주요 지표 발표 전후 1~2분은 거래 피하기
  • 시장가 대신 지정가·조건부 지정가 주문 활용
  • 허용 슬리피지 값을 낮게 설정
  • 유선 인터넷·PC 환경 최적화 후 거래

브로커 커뮤니케이션 팁

기술적 문제로 보인다면 로그와 주문 번호, 발생 시각, 상황을 정리해 브로커에 문의하세요. 혼자 해결하기 어렵다면 전문가 조언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특히 어떤 브로커를 선택할지 막막하다면, 검증된 업체 상담을 통해 합리적 길을 찾는 방법도 있습니다.


50240db37737bde525435befbf296e42_1758518093_813.png
 


오늘은 슬리피지 로그 확인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이 과정은 단순히 과거 실수를 되짚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의 거래를 안정적으로 만드는 핵심 단계입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현명한 트레이딩을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굿모닝해선이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또 다른 실전 팁을 공유드릴 예정이니 기대해주세요.

────────────────────────────

▼ 아래 채널로 바로 상담하실 수 있습니다.

상담은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검증된 안전한 업체만 안내해 드립니다.

전화: 070-8064-5952
카톡 1:1 오픈채팅: 클릭시 상담 바로 연결


※ 전화 연결이 어려운 경우, 문자 또는 카카오톡으로 남겨주시면 빠르게 답변 드리겠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글이 없습니다.

최근 댓글


댓글이 없습니다.